전체 글 (204) 썸네일형 리스트형 리덕스 & mobX & ContextAPI 상태관리 툴 리덕스 mobX 컨텍스트API 왜 필요하냐? 로그인한 사람 정보, 전역변수들 등 과 같이 사이트에 전반적으로 필요한 정보들을 중앙 레파지토를 두고 필요할 때마다 편하게 꺼내쓰는 용도, 중앙 저장소가 없다면, 부모 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로 데이터를 연결 연결 연결 해서 전달할 수 밖에 없다. 매우 불편 장단점 리덕스 : 에러추적에 용이, 코드량이 많다, 중앙저장소도 논리적으로 구분도 가능 mobX : 에러 추적이 어려움, 코드량이 적다 컨텍스트API : 가벼운 작은 프로젝트 어떤걸 쓸래? 비동기를 지원하기 쉽냐? 어렵냐? 컨테스트API는 비동기 요청의 요청, 성공, 실패를 다 구현해야함. 컴포넌트 안에 데이터를 요청하는 코드를 작성함 컴포넌트는 렌더링만 집중 화면을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과 .. 디자인 패턴 MVC, MVT, MVP, MVVM 웹프로그래밍 디자인 패턴 목적 : 각각 목적을 나누어서 코드를 관리, 좀 더 체계적으로 개발을 하기 위해서 MVC 패턴 Model : 데이터 View : Html, Css Controller : 사용자의 입력(Action)을 받고 처리 규칙 1. Model은 Controller와 View에 의존하지 않아야한다. (Model 내부에 Controller와 View에 관련된 코드가 있으면 안된다) 2. View는 Model에만 의존해야하고, Controller에는 의존하면 안된다 3. View가 Model로부터 데이터를 받을 때는, 사용자마다 다르게 보여주어야 하는 데이터만 받아야한다. 4. Controller는 Model과 View에 의존해도 된다. 5. View가 Model로부터 데이터를 받을 때, 반드시.. 프로세스, 스레드, 데드락? 프로세스란? 단순히 실행 중인 프로그램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이 운영체제에 의해 메모리 공간을 할당 받아 실행 중인 것 이러한 프로세스는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데이터와 메모리, 스레드로 구성된다. 스레드란? 프로세스 내에서 실제로 작업을 하는 주체 모든 프로세스에는 한개 이상의 스레드가 존재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스레드별로 각각 자신만의 스택과 레지스터를 가진다 데드락이란? 프로세스가 자원을 얻지 못해서 다음 처리를 못하는 상태, 교착상태 한정된 자원을 여러곳에서 사용하려고 할때 발생 서로 같은 자원을 무한정 대기 이전 1 ··· 34 35 36 37 38 39 40 ··· 68 다음